1. 서론
이 ETF는 ICE 10+ Year China Government & Policy Bank Index를 추종하며, 중국 국채 및 정책은행 채권에 100% 투자해 장기 듀레이션 자산배분 포트폴리오를 제공하는 ETF입니다.
2021년 4월 12일 홍콩 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안정적인 수익과 글로벌 채권 대비 우수한 스프레드 프리미엄을 제공해 왔으며, 2025년 3월 말 기준 운용자산 규모는 약 12.3억 위안에 달하는 대형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ETF 개요
Premia China Treasury & Policy Bank Bond Long Duration ETF(홍콩: 02817)은 중국 A1 등급 국채 및 정책은행 채권만을 편입하는 Fixed Income ETF이며, 기초지수인 ICE 10+ Year China Government & Policy Bank Index는 만기 10년 초과의 중국 국채·정책은행 채권으로만 구성되며, 장기 듀레이션 전략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불안정한 미국의 금융 시장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중국의 국채 투자에 대한 높은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ETF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1년 4월 12일 상장되었고, 가격통화는 위안화(CNY)로 운용이 되기 때문에 위안화의 변동에 따른 환율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위안화 뿐만 아니라 달러, 홍콩달러, 위안화 셋 중에 자신이 원하는 화폐로 매수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단, 각 화폐에 따른 ETF의 티커가 다릅니다.
이 ETF는 2025년 3월 31일 기준 순자산총액은 약 12.3억 위안으로, 중국 장기채권시장에 대한 간접 투자를 위한 대표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운용 전략
이 ETF는 펀드 자산의 100%를 중국 국채 및 정책은행 채권에 투자하며, A1 등급 이상의 신용도를 유지를 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한 투자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장기 듀레이션(만기 10년 초과) 포지션을 통해 주요 글로벌 국채 대비 높은 수익률 스프레드를 추구하며, 자산·부채 관리(ALM)가 필요한 기관투자가에게도 매력적인 투자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불안정한 미국의 금융시장에서 투자자들의 자금을 미국 시장의 리스크를 줄여줄 수 있는 헤지 수단으로써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달러의 지위의 하락에 따른 위안화의 지위 상승을 노려볼 수도 있으며, 미국 경제의 하방 압력이 거세질수록 미국을 대안으로 가진 정부의 채권 자산의 상승 또한 노려볼수 있습니다.
4. 수익률 및 분배
2025년 5월 8일 기준 이 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1.5%, 1년 수익률은 18.3%를 기록할 정도록 과거의 높은 수익률을 가져다주었습니다.
기초지수 대비 추종 오차 또한 크지 않아 ETF의 불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낮습니다.
분배 빈도는 분기별 1회이며, 채권 이자수익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 현금흐름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지급받는 이자수익은 무조건 위안화로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4. 투자 시 유의사항
- 통화 리스크: 투자 시 원화가 아닌 외화로 투자를 해야 되므로, 환율 변동에 따른 추가 손익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배당은 무조건 위안화 지급이 되기 때문에 위안화에 환율에 따른 손실 및 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금리 민감도: 장기 채권에 집중 투자하므로 금리 상승 시 가격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 신용 리스크: 정책은행 채권은 준국채 수준 신용이지만, 중국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 운용보수: 연간 총 보수(Total Expense Ratio)는 0.28%로, 장기 보유 시 비용 부담을 고려해야 합니다.
5. 결론
Premia China Treasury & Policy Bank Bond Long Duration ETF는 높은 신용등급과 장기 듀레이션 포지션을 통해 중국 채권시장의 수익과 분산효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상품입니다.
또한, 미국과 한국에 편중된 우리의 포트폴리오에서 비교적 미국의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은 중국의 채권은 지금과 같은 불안정한 금융 시스템에서 미국과 한국의 자산에 대한 헤지를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생각이 됩니다. 또한, 달러의 신뢰에 대한 리스크를 위안화 표시 자산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해당 리스크 또한 헤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정책 리스크가 있는 만큼 높은 비중으로 포트폴리오에서 편입을 하기보다는 다른 포트폴리오를 헤지 하는 수단으로 일정 비율만 편입을 시킨다면 아주 좋은 리스크 헤지 수단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ETF: 매월 "달러 인컴"으로 채우는 스마트 전략 (1) | 2025.05.19 |
---|---|
PLUS 고배당주 ETF: 매월 "두 번째 월급"을 만드는 안정적 배당성장 전략 (0) | 2025.05.14 |
미국 장기 국채 레버리지 TMF ETF(feat. 투자전략, 유의사항) (0) | 2025.05.07 |
고배당+옵션 수익을 동시에?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 ETF 완전 정리 (0) | 2025.04.30 |
비과세와 고수익의 조화: KODEX 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 완전 정복 (0) | 2025.04.28 |